오늘은 2025년 1월 10일부터 발급이 시작된 모바일 외국인등록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바일 외국인등록증이란?
2025년부터 정부가 시작한 모바일 신분증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모바일 외국인등록증의 발급이 2025년 1월 10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을 갖고 있는 14세 이상 모든 등록 외국인은 신청이 가능하며 모바일 외국인등록증은 정부가 발급하는 신분증이므로 실물 외국인등록증과 동일한 효력을 갖게 됩니다. 주의할 점은 스마트폰이 생체인식 인증기능과 NFC 지원 기능이 있어야만 모바일 외국인등록증 발급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관공서, 병원 등 신원 확인이 필요한 곳에서 모바일 외국인등록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정부 발표에 따르면 조만간 은행 모바일 금융 서비스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과 모바일 운전면허증과 마찬가지로 모바일 외국인등록증을 발급받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아래 글을 통해 각 발급 방식을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IC 외국인등록증 발급을 통한 모바일 외국인등록증 신청하기
먼저 주소지 관할 지방 출입국이나 외국인 관서를 방문해서 안내를 받아 기존 외국인등록증을 대체할 IC 외국인등록증 발급을 신청합니다. 이때 IC칩 가격을 포함한 3만5천원의 발급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IC 외국인등록증 발급이 완료되면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을 다운로드하고 태그 하여 앱에서 IC 외국인등록증을 인식시킵니다. 그 후 본인 확인을 위해 안면 인증을 진행하면 모바일 외국인등록증 발급이 완료됩니다. 외국인 등록증이 필요할 경우 모바일 신분증 앱의 외국인등록증을 제시하면 됩니다. IC 외국인등록증을 발급받으면 기존의 외국인 등록증은 반납해야 합니다. 휴대전화를 교체했을 경우, 다시 지방 출입국이나 외국인 관서를 방문하지 않아도 스스로 앱에서 IC 외국인등록증을 태그 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QR 코드로 모바일 외국인등록증 발급받기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QR 코드를 통한 발급처럼 모바일 외국인등록증도 관할 지방 출입국이나 외국인 관서를 방문해서 미리 스마트폰에 설치된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에 모바일 외국인등록증을 QR 코드 촬영을 통해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비용은 무료이며 반드시 외국인등록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다만 휴대전화를 교체할 경우마다 지방 출입국이나 외국인 관서를 다시 방문해서 QR 코드 촬영을 통한 외국인등록증 등록을 다시 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오늘은 모바일 외국인등록증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