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입스 뜻 그리고 야구 입스 증후군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최강야구3 나원탁, 이홍구)

by 써드케이브 2024. 4. 23.
반응형

최근 최강야구 3 트라이아웃에서 나원탁 선수와 이홍구 선수의 입스 극복에 대한 이야기가 화제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오늘은 야구 선수들과 골프 선수들 그리고 피아니스트 같은 예술가들이 자주 겪는 어려움인 입스의 증상과 극복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입스란?

입스(YIPS)는 의학용어로 ‘국소성 이긴장증’을 의미합니다. 원래 신경의학용어인 입스가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것은 1927년 그 당시 최고의 골퍼였던 토미 아머(Tommy Armour) 선수가 첫 홀에서 23 타라는 거짓말 같은 기록을 낸 후 입스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입스는 정신적인 문제로 시합이나 공연 같은 압박감이 심한 환경에 자주 노출되었을 경우 근육이 경직되면서 평상시 익숙하게 해냈던 동작을 못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야구 입스 증후군이라고 부르는 야구 입스가 온 선수들은 갑자기 공이 날아오는 것에 공포를 느끼게 되며, 공을 송구하거나 던지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최근 최강야구 3 트라이 아웃에서 나원탁 포수가 투수에게 공을 던지지 못하게 되는 입스를 극복했다는 것으로 큰 화제가 된 것도, 입스는 정신적 문제이기 때문에 극복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입스가 온 미식축구 선수는 상대방에게 돌진을 하지 못하게 되며, 입스가 온 피아니스트와 기타리스트는 손가락이 전혀 움직이지 않아 연주를 할 수 없게 됩니다. 복합적 원인이 있지만 운동선수와 예술가들에게 잘 발생하는 이유는 극심한 경쟁 상황과 심리적 압박 속에서 자신이 경쟁에 밀려날 것을 두려워하거나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이 주된 원인이라고 전문가들은 의견을 모으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도한 두려움은 뇌의 과부하를 가져오게 되고 교감신경의 지나친 긴장을 유발하게 되며 교감신경의 영향을 받는 근육들이 무의식적으로 긴장도가 높아지면서 본인의 뜻대로 움직이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반응형

 

입스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입스는 일반적으로 집중적인 심리 치료를 통해 극복할 수 있습니다. 압박감과 긴장을 주는 환경 속에서 승부와 상대방에게 지나치게 집착하지 않도록 자신에게 묵시하는 방법으로 치료를 시작합니다. 그리고 이미지 트레이닝과 자신만의 루틴을 만들어 심리적 안정감을 갖게 하는 등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입스를 치료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근육과 신경계를 조율하고 활성화시키는 다양한 치료제를 복용하고 불균형된 영양을 해결하기 위해 부족한 영양소를 공급하여 치료의 효과를 높이기도 합니다.

 

입스를 극복하는 야구선수 사진
입스 뜻과 극복 방법

 

오늘은 다양한 운동선수들에게 나타나는 입스의 증상과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